조지 산타야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 산타야나는 스페인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교육받고 철학자로 활동한 인물이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실재론과 관념론을 결합하려는 독특한 사상을 펼쳤다. 산타야나는 자연주의와 낭만주의를 융합하려 했으며, 주요 저서로는 『미의 감각』, 『이성의 삶』, 『회의주의와 동물적 신앙』 등이 있다. 그는 무신론자였지만 "미학적 가톨릭교도"를 자처했으며, 말년에는 로마에서 생활하며 작품 활동을 했다. 그의 사상은 버트런드 러셀, T. S. 엘리엇 등 많은 인물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과거를 기억하지 못하는 자는 그것을 되풀이하도록 운명 지어져 있다"는 경구로 유명하다. 그러나 인종 우월주의적, 우생학적 견해를 가지고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수필가 - 미겔 데 우나무노
미겔 데 우나무노는 1864년 스페인에서 태어나 소설 『안개』 등을 통해 실존주의적 사상을 표현하고 살라망카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으며, 스페인 내전 발발 초기 프랑코를 지지했으나 이후 반대하여 가택 연금 상태에서 사망했다. - 스페인의 철학자 - 미겔 데 우나무노
미겔 데 우나무노는 1864년 스페인에서 태어나 소설 『안개』 등을 통해 실존주의적 사상을 표현하고 살라망카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으며, 스페인 내전 발발 초기 프랑코를 지지했으나 이후 반대하여 가택 연금 상태에서 사망했다. - 스페인의 철학자 - 후안 도노소 코르테스
후안 도노소 코르테스는 자유주의에서 보수주의로 전향한 스페인의 정치가이자 사상가, 외교관으로, 이사벨 2세 여왕을 지지하며 정치적 중책을 맡았고, 가톨릭 교리를 옹호하며 자유주의와 사회주의를 비판하는 저서를 통해 가톨릭 보수주의에 기여했으나 권위주의적 성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조지 산타야나 | |
---|---|
조지 산타야나 | |
![]() | |
기본 정보 | |
본명 | 호르헤 아구스틴 니콜라스 루이스 데 산타야나 이 보라스 |
출생일 | 1863년 12월 16일 |
출생지 | 마드리드, 스페인 |
사망일 | 1952년 9월 26일 |
사망지 | 로마, 이탈리아 |
국적 | 스페인 |
교육 | |
학교 | 하버드 대학교 (AB, PhD) 킹스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
철학적 배경 | |
지역 | 서양 철학 |
시대 | 20세기 철학 |
학파 | 실용주의 |
지도 및 영향 | |
박사 지도교수 | 조시아 로이스 |
주요 제자 | 제이콥 로웬버그 콘래드 에이킨 T. S. 엘리엇 호레이스 칼렌 월터 리프먼 W. E. B. 듀보이스 에드워드 랜드 알랭 로크 밴 위크 브룩스 러니드 핸드 펠릭스 프랑크푸르터 맥스 이스트먼 거트루드 스타인 월리스 스티븐스 |
관심 분야 | |
주요 관심사 | 도덕 철학 정치 철학 인식론 형이상학 종교 철학 |
주요 사상 | |
주목할 만한 사상 | 루크레티우스적 유물론 회의주의 자연 귀족주의 존재의 영역 |
서명 | |
![]() |
2. 생애
1863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아빌라에서 보냈다. 1872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보스턴 라틴 스쿨과 하버드 대학교에서 윌리엄 제임스 등에게서 교육을 받았다. 1886년부터 2년 동안 베를린에서 공부한 후, 하버드로 돌아와 헤르만 로체에 관한 논문을 작성했다(1889).
1907년부터 하버드 대학교에서 철학 교수를 역임했고, 1912년에 사직하고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를 오가며 활동했다. 1925년 이후에는 로마에 정착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로마의 사원에서 가톨릭적 자유사상가로 지냈다.
무신론자였지만, 산타야나는 자신을 "미학적 가톨릭교도"로 여겼고, 로마에서 수녀들의 보살핌을 받으며 생애 마지막 10년을 보냈다. 1952년 9월 26일 로마에서 사망했다.
2. 1. 유년기 및 교육
1863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태어난 산타야나는 어린 시절을 아빌라에서 보냈다. 그의 어머니 호세피나 보라스는 필리핀에서 근무하는 스페인 관리의 딸이었으며, 산타야나는 그녀의 두 번째 결혼에서 태어난 외동아이였다.[8] 호세피나 보라스의 첫 번째 남편은 보스턴 상인 조지 스터지스였는데, 그녀는 그와의 사이에서 다섯 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두 명은 유아기에 사망했다. 1869년, 호세피나 보라스는 첫 남편에게 미국에서 자녀들을 키우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에 세 명의 스터지스 자녀들과 함께 보스턴으로 돌아갔고, 여섯 살 된 산타야나는 스페인에 있는 아버지와 남겨졌다.1872년 산타야나와 그의 아버지는 어머니를 따라 보스턴으로 갔다. 그의 아버지는 보스턴과 아내의 태도를 마음에 들어 하지 않고 곧 혼자 아빌라로 돌아가 남은 생애를 그곳에서 보냈다. 산타야나는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여름 휴가를 스페인에서 보내기 시작할 때까지 아버지를 다시 보지 못했다. 이 기간 동안 산타야나의 이름은 영어식 이름인 조지(George)로 바뀌었다.
산타야나는 보스턴 라틴 스쿨과 하버드 대학교에서 윌리엄 제임스와 조사이어 로이스에게서 철학을 배웠고, 11개의 동아리 활동에 참여했다.[9] 그는 철학 클럽의 창립자이자 회장이었고, O.K.로 알려진 문학회 회원이었다. 또한 ''하버드 램푼''의 편집자이자 만화가였고, 하버드의 "파이널 클럽" 중 하나인 델픽 클럽에 가입했으며, 문학 저널 ''하버드 먼슬리''의 공동 창립자였다.[10] 1885년 12월, 그는 헤이스티 푸딩 극단의 연극 ''로빈 후드''에서 레이디 엘프리다 역을 맡았고, 졸업반 봄에는 ''파필로네타'' 공연에 출연했다.[11] 1886년 학사(A.B.) 학위를 최우등(summa cum laude)으로 받고 피 베타 카파에 선출되었다.[12]
1886년부터 2년 동안 베를린에서 공부한 후,[13] 하버드로 돌아와 헤르만 로체에 관한 논문을 작성했다(1889년).[14]
2. 2. 하버드 교수 시절과 유럽 이주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다가 1912년에 사직하고 영국, 프랑스 등 유럽에서 생활하였다. 1925년 이후에는 로마에 정착하였다.[8] 1889년부터 1912년까지 하버드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하버드 대학교 철학과(Harvard University Department of Philosophy)의 황금기를 이끌었다.[8] 그의 하버드 제자 중에는 콘래드 에이컨(Conrad Aiken), W. E. B. 두 보이스(W. E. B. Du Bois), T. S. 엘리엇(T. S. Eliot), 로버트 프로스트(Robert Frost), 호레이스 칼렌(Horace Kallen), 월터 리프먼(Walter Lippmann), 거트루드 스타인(Gertrude Stein) 등 저명한 인물들이 있었으며, 월러스 스티븐스(Wallace Stevens)는 그의 제자는 아니었지만 친구가 되었다.[15]1912년, 산타야나는 하버드 대학교 교수직을 사임하고 남은 생을 유럽에서 보냈다. 그는 돈을 모았고 어머니로부터 상속받은 재산의 도움을 받았다. 아빌라, 파리 및 옥스퍼드에서 몇 년을 보낸 후, 1920년 이후 로마에서 겨울을 보내기 시작하여 결국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서 계속 살았다. 유럽에서 40년 동안 19권의 책을 저술했고 여러 권위 있는 학문적 직책을 거절했다.
2. 3. 말년과 죽음
1912년, 산타야나는 하버드 대학교의 직위를 사임하고 남은 생을 유럽에서 보내기로 했다. 그는 돈을 모았고 어머니로부터 상속받은 재산의 도움을 받았다. 아빌라, 파리 및 옥스퍼드에서 몇 년을 보낸 후, 1920년 이후 그는 로마에서 겨울을 보내기 시작하여 결국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서 계속 살았다. 유럽에서 40년 동안 그는 19권의 책을 저술했고 여러 권위 있는 학문적 직책을 거절했다. 그의 방문객과 서신 교환자 중 다수는 미국인이었으며, 그의 조수이자 최종 문학 집행자인 다니엘 코리도 포함된다. 말년에 산타야나는 1935년 소설인 ''마지막 청교도''가 예상치 못한 베스트셀러가 된 덕분에 재정적으로 안정된 삶을 살았다. 그는 철학적으로나 정치적으로 근본적으로 의견이 달랐던 버트런드 러셀을 포함한 여러 작가들을 재정적으로 지원했다.[17]무신론자였지만, 산타야나는 자신을 "미학적 가톨릭교도"로 여겼고 로마에서 수녀들의 보살핌을 받으며 생애 마지막 10년을 보냈다. 1941년 그는 로마 비아 산토 스테파노 로톤도 6번지 첼리오 언덕에 있는 작은 마리아 수녀회(또는 푸른 수녀회로 알려짐)가 운영하는 병원과 수녀원에 입원하여 1952년 9월 사망할 때까지 수녀들이 그를 돌보았다.[18] 사망 후 그는 성별된 땅에 매장되기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탈리아에서 그의 매장은 문제가 되었다. 마침내 로마의 스페인 영사관은 그가 로마 캄포 베라노 묘지에 있는 오브라 피아 에스파뇰라 판테온에 매장되는 것에 동의했다.
3. 철학 사상
많은 고전적 프래그머티스트들과 마찬가지로, 산타야나는 형이상학적 자연주의를 지지했다. 그는 인간의 인식, 문화적 관습, 사회 제도가 환경에 존재하는 조건과 조화를 이루도록 진화해왔다고 믿었으며, 그 가치는 인간의 행복 증진에 얼마나 기여하는지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고 보았다.
산타야나는 초기 역상적 현상론 지지자였지만, 데모크리토스와 루크레티우스의 고전적 유물론을 존경했다. 그는 스피노자를 "나의 스승이자 모범"이라고 불렀다.[19]
3. 1. 회의주의와 동물적 신앙
산타야나는 미국에서 쓰여진 최초의 주요 미학 저술 중 하나인 『미의 감각』(The Sense of Beauty, 1896), 하버드 시절 최고의 업적인 『이성의 삶』(The Life of Reason, 5권, 1905–06), 『회의주의와 동물적 신앙』(Scepticism and Animal Faith, 1923), 그리고 『존재의 영역』(The Realms of Being, 4권, 1927–1940)을 저술하였다. 프래그머티즘의 거장인 윌리엄 제임스, 찰스 샌더스 피어스, 조시아 로이스, 존 듀이와 같은 프래그머티스트는 아니었지만, 『이성의 삶』은 프래그머티즘을 상세히 다룬 최초의 저술로 평가받는다.산타야나는 형이상학적 자연주의를 지지했으며, 인간의 인식, 문화적 관습, 사회 제도가 환경에 존재하는 조건과 조화를 이루도록 진화해왔다고 믿었다. 그는 이러한 것들의 가치가 인간의 행복 증진에 얼마나 기여하는지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성의 삶』의 다른 제목인 "인간 진보의 단계들"(the Phases of Human Progress)은 이러한 형이상학적 입장을 보여준다.
산타야나는 초기 역상적 현상론 지지자였지만, 데모크리토스와 루크레티우스의 고전적 유물론을 존경했다. 그는 『세 명의 철학적 시인』(Three Philosophical Poets)에서 다룬 세 명의 저자 중 루크레티우스를 가장 호의적으로 평가했다. 또한 스피노자의 저술을 높이 평가하여 그를 "나의 스승이자 모범"이라고 불렀다.[19]
무신론자였던[20][21] 산타야나는 종교에 대해 온화한 견해를 가졌으며, 자신을 "미학적 가톨릭 신자"라고 묘사했다. 그의 종교관은 『종교 속의 이성』(Reason in Religion), 『복음서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사상』(The Idea of Christ in the Gospels), 『시와 종교의 해석』(Interpretations of Poetry and Religion)에 나타나 있다.
그는 인종 우월주의와 우생학적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우수한 인종이 "열등한 계층과의 혼혈"을 자제해야 한다고 믿었다.[22]
3. 2. 이성의 삶
산타야나의 주요 철학 저술로는 그의 첫 번째 장편 논문이자 미국에서 쓰여진 최초의 주요 미학 저술 중 하나인 The Sense of Beauty|미의 감각영어(1896), 그의 하버드 시절 최고의 업적인 The Life of Reason|이성의 삶영어(5권, 1905–06), Scepticism and Animal Faith|회의주의와 동물적 신앙영어(1923), 그리고 The Realms of Being|존재의 영역영어(4권, 1927–1940)이 있다. 산타야나는 프래그머티즘의 거장인 윌리엄 제임스, 찰스 샌더스 피어스, 조시아 로이스, 존 듀이와 같은 프래그머티스트는 아니었지만, 『이성의 삶』은 주장하건대 최초로 프래그머티즘을 상세히 다룬 저술이다.많은 고전적 프래그머티스트들과 마찬가지로, 산타야나는 형이상학적 자연주의에 헌신했다. 그는 인간의 인식, 문화적 관습, 그리고 사회 제도가 그들의 환경에 존재하는 조건과 조화를 이루도록 진화해왔다고 믿었다. 그들의 가치는 인간의 행복을 얼마나 증진시키는지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이성의 삶』의 다른 제목인 "인간 진보의 단계들"(the Phases of Human Progress)은 이러한 형이상학적 입장을 보여준다.
3. 3. 종교관
조지 산타야나는 무신론자였지만,[20][21] 종교에 대해 상당히 온화한 견해를 가졌으며 자신을 "미학적 가톨릭 신자"라고 묘사했다.[18] 그의 종교관은 『종교 속의 이성』, 『복음서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사상』, 『시와 종교의 해석』 등의 저서에 나타나 있다.3. 4. 우생학적 견해
산타야나는 인종 우월주의와 우생학적 견해를 가졌다. 그는 우수한 인종이 "열등한 계층과의 혼혈"을 자제해야 한다고 믿었다.[22]4. 주요 저작
산타야나의 주요 저작 목록은 다음과 같다.
- 1894년. ''소네트와 기타 시''
- 1896년. ''미의 감각: 미학 이론 개요''
- 1899년. ''루시퍼: 신학적 비극''
- 1900년. ''시와 종교의 해석''
- 1901년. ''카르멜의 은둔자와 다른 시들''
- 1905–1906년. ''이성의 삶: 혹은 인간 진보의 단계'' (5권)
- 1910년. ''세 명의 철학적 시인: 루크레티우스, 단테, 괴테''
- 1913년. ''교리의 바람: 현대 여론 연구''
- 1915년. ''독일 철학의 이기주의''
- 1920년. ''미국의 성격과 여론: 윌리엄 제임스와 조사이아 로이스의 회상과 미국의 학문적 삶을 담아''
- 1920년. ''조지 산타야나 저술에서 발췌한 소논문'' (로건 피어설 스미스 편, 저자와 공동)
- 1922년. https://archive.org/details/soliloquiesineng00santrich 잉글랜드에서의 독백과 후기 독백
- 1922년. ''시''
- 1923년. ''회의주의와 동물적 믿음: 철학 체계에 대한 서론''
- 1926년. ''림보의 대화''
- 1927년. ''플라톤주의와 영적 삶''
- 1927–40년. ''존재의 영역'' (4권)
- 1931년. ''포위된 점잖은 전통''
- 1933년. ''현대 철학의 사고 전환: 다섯 편의 에세이''
- 1935년. ''마지막 청교도: 소설 형식의 회상록''
- 1936년. ''잡문: 강의, 에세이 및 비평'' (저스투스 부흘러와 벤자민 슈워츠 편집)
- 1944년. ''사람들과 장소''
- 1945년. ''중간 시기''
- 1946년. ''복음서에 나오는 그리스도의 사상; 혹은, 인간 안의 신: 비판적 에세이''
- 1948년. ''림보의 대화, 새로운 대화 세 편 추가''
- 1951년. ''지배와 권력: 자유, 사회, 정부에 대한 성찰''
- 1953년. ''나의 주인 세상''
- 1955년. ''조지 산타야나 편지(''The Letters of George Santayana'')'' (대니얼 코리 편집, Charles Scribner's Sons, 뉴욕, 296통의 편지)
- 1956년. ''조지 산타야나의 문학 비평 에세이(''Essays in Literary Criticism of George Santayana'')'' (어빙 싱어 편집)
- 1957년. ''게으름뱅이와 그의 작품들, 그리고 다른 에세이들(''The Idler and His Works, and Other Essays'')'' (대니얼 코리 편집)
- 1967년. ''점잖은 전통: 조지 산타야나의 에세이 9편(''The Genteel Tradition: Nine Essays by George Santayana'')'' (더글러스 L. 윌슨 편집)
- 1967년. ''조지 산타야나의 미국: 문학과 문화에 관한 에세이(''George Santayana's America: Essays on Literature and Culture'')'' (제임스 발로 편집)
- 1967년. ''동물적 신앙과 영적 삶: 조지 산타야나의 이전에 출판되지 않은 미발표 작품과 그의 사상에 관한 비평 에세이(''Animal Faith and Spiritual Life: Previously Unpublished and Uncollected Writings by George Santayana With Critical Essays on His Thought'')'' (존 락스 편집)
- 1968년. ''산타야나가 본 미국: 미국 생활, 문학, 철학에 관한 에세이, 노트, 편지(''Santayana on America: Essays, Notes, and Letters on American Life, Literature, and Philosophy'')'' (리처드 콜턴 라이온 편집)
- 1968년. ''조지 산타야나의 선정된 비평 작품(''Selected Critical Writings of George Santayana'')'' (2권, 노먼 헨프리 편집)
- 1969년. ''물리적 질서와 도덕적 자유: 조지 산타야나의 이전에 출판되지 않은 에세이(''Physical Order and Moral Liberty: Previously Unpublished Essays of George Santayana'')'' (존과 셜리 락스 편집)
- 1979년. ''조지 산타야나의 시 전집: 비평판(''The Complete Poems of George Santayana: A Critical Edition'')'' (W. G. 홀츠버거 편집 및 서문)
- 1995년. ''이성의 탄생 및 기타 에세이(''The Birth of Reason and Other Essays'')'' (대니얼 코리 편집, 허먼 J. 사트캄프 주니어 서문)
- 2009년. ''산타야나 필독선: 선정 작품(''The Essential Santayana. Selected Writings'')'' (산타야나 에디션 편집, 마틴 A. 콜먼 편집 및 서문)
- 2009년. ''미국 철학의 점잖은 전통과 미국에서의 성격과 의견 (서구 전통 재고찰) (''The Genteel Tradition in American Philosophy and Character and Opinion in the United States (Rethinking the Western Tradition)'')'' (제임스 시턴 편집 및 서문, 윌프리드 M. 맥클레이, 존 락스, 로저 킴벌, 제임스 시턴 기고)
- 2021년. ''최근 발견된 조지 산타야나의 편지 / 조지 산타야나의 새로 발견된 편지 (''Recently Discovered Letters of George Santayana / Cartas recién descubiertas de George Santayana'')'' (대니얼 핑카스 편집 및 서문, 대니얼 모레노 번역, 호세 벨트란 서문)
조지 산타야나(George Santayana)의 출판 및 미출판 저작에 대한 현대화되지 않은 비평판(''전집(The Works)'')은 산타야나 에디션(Santayana Edition)에서 편집하고 MIT 프레스(The MIT Press)에서 출판한다.
연도 | 제목 |
---|---|
1986 | 사람과 장소(Persons and Places) (산타야나의 자서전으로, 1944년 사람과 장소, 1945년 중간 시기, 1953년 나의 주인 세상을 통합) |
1988 (1896) | 미의 감각: 미학 이론 개요 |
1990 (1900) | 시와 종교의 해석 |
1994 (1935) | 마지막 청교도: 소설 형식의 회상록 |
조지 산타야나의 편지(The Letters of George Santayana) (사후에 발견된 많은 편지를 포함하여 3,000개가 넘는 그의 편지와 350명이 넘는 수신자를 담고 있음) | |
2001 | 제1권, 1868–1909 |
2001 | 제2권, 1910–1920 |
2002 | 제3권, 1921–1927 |
2003 | 제4권, 1928–1932 |
2003 | 제5권, 1933–1936 |
2004 | 제6권, 1937–1940 |
2006 | 제7권, 1941–1947 |
2008 | 제8권, 1948–1952 |
2011 | '조지 산타야나의 주석: 비평적 선집(George Santayanas Marginalia: A Critical Selection)'' (제1권 및 제2권, 존 O. 맥코믹 편찬, 크리스틴 W. 프로스트 편집) |
이성의 삶 (5권) | |
2011 (1905) | 상식 속의 이성 |
2013 (1905) | 사회 속의 이성 |
2014 (1905) | 종교 속의 이성 |
2015 (1905) | 예술 속의 이성 |
2016 (1906) | 과학 속의 이성 |
2019 (1910) | 세 명의 철학적 시인: 루크레티우스, 단테, 괴테, 비평판 (켈리 도슨과 데이비드 E. 스피치 편집, 제임스 시턴 서문) |
2023 (1913) | 교리의 바람, 비평판 (데이비드 E. 스피치, 마틴 A. 콜먼, 페드라 라자르 바이스 편집, 폴 포스터 서문) |
일본어 번역본:
- 1921년, 鷲尾浩(와시오 아메코) 역, 조지 산타야나 저, 『미의 이론』(美識論) 동하사. 1936년 춘추사의 세계대사상전집에 수록.
- 1966년, 이소노 토모히코 역, 『철학 산책―회의주의와 동물적 신앙』(哲学逍遙―懐疑主義と動物的信) 경초서방.
- 1966년, 야마기와 후미오 역, 『사상의 원자들』(思想のアトムズ) 스이미 서방.
5. 영향 및 유산
산타야나는 그의 많은 경구들로 기억되는데, 그중 상당수는 너무 자주 사용되어 진부해졌다. 그의 철학은 그다지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그는 대부분 뛰어난 산문 스타일리스트로 여겨지며, 산타야나의 철학에 상당 부분 공감하는 존 락스(John Lachs)는 그의 저서 ''산타야나에 대하여''에서 그의 유창함이 역설적으로 이러한 무관심의 원인일 수 있다고 적었다.
산타야나는 버트런드 러셀을 포함한 주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는데, 산타야나는 홀로 러셀을 G. E. 무어의 윤리학에서 멀어지게 했다.[23] 그는 또한 T. S. 엘리엇, 로버트 프로스트, 거트루드 스타인, 호레이스 칼렌, 월터 리프먼, W. E. B. 뒤부아, 코너드 에이컨, 밴 와이크 브룩스, 펠릭스 프랑크푸르터, 맥스 이스트먼, 월리스 스티븐스 등 하버드 학생 시절 많은 저명한 인물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스티븐스는 특히 산타야나의 미학에 영향을 받았고, 산타야나가 강의를 맡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친구가 되었다.[24][25][26]
캐나다계 미국인 사회학자 어빙 고프만은 그의 유명한 책 ''일상생활에서의 자아 제시''(1959)의 논제에서 산타야나를 중심적인 영향으로 언급한다. 종교 역사가 제롬 A. 스톤은 산타야나가 종교적 자연주의의 발전 초기 사상에 기여했다고 말한다.[27] 영국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는 그의 걸작 ''과정과 실재''(1929)에서 산타야나를 광범위하게 인용한다.[28]
척 존스는 와일 E. 코요테와 로드러너를 주인공으로 하는 그의 만화를 묘사하기 위해 "목표를 잊은 후에도 노력을 배가하는 것"이라는 산타야나의 광신에 대한 묘사를 사용했다.[29]
가수 겸 작곡가 빌리 조엘의 1989년 싱글 "We Didn't Start the Fire" 가사에는 산타야나의 서거가 언급되어 있다.[30]
"죽은 자만이 전쟁의 끝을 보았다"라는 인용구는 종종 플라톤에게 돌려지거나 잘못 인용되곤 한다. 이러한 잘못된 인용(만약 실제로 잘못된 인용이라면)의 초기 사례는 1962년 웨스트포인트에서 사관생도들에게 한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작별 연설에서 찾아볼 수 있다.[31][32]
참조
[1]
서적
The Dictionary of Modern American Philosophers
Continuum
2005
[2]
웹사이트
the definition of Santayana
http://www.dictionar[...]
dictionary.com
2016-05-07
[3]
서적
The Philosophy of George Santayana
1940
[4]
서적
Reason in Common Sense
1905
[5]
서적
Soliloquies in England and Later Soliloquies
1922
[6]
웹사이트
Beauty as Intrinsic Pleasure by George Santayana
https://web.archive.[...]
2016-06-15
[7]
서적
George Santayana's Philosophy of Religion: His Roman Catholic Influences and Phenomenology
Lexington Books
2012-09-28
[8]
웹사이트
George Santayana
http://plato.stanfor[...]
2021-04-25
[9]
웹사이트
George Santayana
https://www.britanni[...]
[10]
웹사이트
Two Harvard Friends: Charles Loeser and George Santayana
http://berenson.itat[...]
2014-09-25
[11]
서적
An Illustrated History of the Hasty Pudding Club Theatricals
Hasty Pudding Club
1897
[12]
웹사이트
Who Belongs To Phi Beta Kappa
http://www.pbk.org/i[...]
2009-10-04
[13]
잡지
Santayana, George
https://books.google[...]
1907
[14]
논문
Lotze's system of philosophy
http://id.lib.harvar[...]
1889
[15]
서적
Wallace Stevens: A Poet's Growth
LSU Press
1986
[16]
학술자료
[17]
웹사이트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4-01-01
[18]
뉴스
George Santayana, 88, Dies in Rome
https://www.thecrims[...]
Harvard Crimson
1952-09-29
[19]
서적
The Letters of George Santayana
1948-1952
[20]
웹사이트
On My Friendly Critics
1922
[21]
잡지
Empiricism, Theoretical Constructs, and God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4-07
[22]
서적
The Life of Reason: Human Understanding
https://books.google[...]
2015-11-26
[23]
서적
Bertrand Russell's Ethics
Continuum
2006
[24]
서적
Wallace Stevens: A Poet's Growth
LSU Press
1986
[25]
웹사이트
Stevens, Wallace
https://web.archive.[...]
2014-01-07
[26]
웹사이트
George Santayana
http://plato.stanfor[...]
2013-12-02
[27]
서적
Religious Naturalism Today
[28]
서적
Process and Reality. An Essay in Cosmology. Gifford Lectures Delivered in the University of Edinburgh During the Session 1927–1928
Macmilla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1929
[29]
뉴스
That's Not All, Folks! "Of course you know this means war." Who said it?
http://www.opinionjo[...]
The Wall Street Journal
2003-11-25
[30]
웹사이트
We Didn't Start the Fire
https://www.billyjoe[...]
2016-09-25
[31]
웹사이트
Plato FAQ: Did Plato write :"Only the dead have seen the end of war"?
http://plato-dialogu[...]
2018-04-29
[32]
뉴스
Who Really Said That?
https://www.chronicl[...]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2013-09-16
[33]
웹사이트
The Benson Medal
https://web.archive.[...]
2014-01-07
[34]
서적
The Letters of George Santayana, Book Seven, 1941–1947
MIT Press (MA)
2006
[35]
웹사이트
University Lectures – Secretary of the Faculty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